전체 글 133

연재4) 심담십사요(心談十四要)

심담십사요는 활쏘는 사람이 마음에 새겨야 할 열 네가지 중요한 원칙이라는 뜻으로 조선정조 22년(1799년) 평양감영에서 무과 교재로 발간된 '사법비전공하(射法秘傳攻瑕)'에 나오는 글이며, 이 책이 전하는 궁술의 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다.다음의 글은 '한국의 활쏘기(정진명 저)' 활쏘기의 실체 부문에 수록된 것을 모두 인용(주석은 생략)한다.1. 궁요연(弓要軟) : 활은 자기 힘에 맞게 연해야 한다.(활이 연하다는 것은) 무조건 연한 활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. 활이 (한량의) 힘보다 강하면 (한량의) 힘이 그 활을 이기지 못하여 하고자 하는대로 되지 않는다. (한량의) 힘이 활(의힘)보다 더 강하면 (사람이) 활을 바야흐로 부릴 수 있다. 그러므로 (활은 자기가 이길 수 있는) 연한 활을 써야 한..

카테고리 없음 2024.12.11

연재3) 弓射의 직립자세 12개요건

궁사의 사법이란 것은 마치 군인의 기착자세(氣着姿勢)와 같다. 즉 군인이 먼저 기착자세를 취한 뒤에 교련 과목, 혹은 운동을 시작하는 것과 같이 궁사는 먼저 직립자세를 취한 뒤에 궁술을 발휘하게 된다. 이것을 총칭하여 사법이라 칭하는 것이니 그 주요한 조건을 열거하면 대개 다음과 같다.1. 신체는 반듯이 직립하되 전체를 과녁...... 즉 "과녁이 이마와 바루게 하라"하는 것은 과녁정면을 향하여 직립하라는 것이다.2. 정신=정신은 신체의 직립자세를 취하는 동시에 이 모쪼록은 일체 사심과 공상을 버리고 침착하여 심신을 안돈할 것.3. 발=발은 정자형도 아니오 팔자형도 아닌 형상으로 과녁 좌우 아래끝을 향하여 벌려서되 양쪽 발 끝이 항상 숙지 아니하도록 하며 전 체중은 발 장심-손바닥이나 발바닥의 중심-에다..

국궁 입문 2024.12.11